조선시대 서울의 차문화는 어땠을까 매우 궁금한 대목이다. 이러한 궁금증에 답을 한 책이 출간돼 화제다. 서울역사편찬원은 서울문화마당 제19권으로 한국차문화학회 부회장인 정은희 교수의 집필로 『조선시대 서울의 차문화』를 출간했다. 이번에 발간된 《조선시대 서울의 차 문화》는 음료이나 약이었고, 취미이자 의례이기도 한 차 문화가 조선시대 서울이라는 공간 속에서 어떻게 생산, 소비되었는지에 대해서 차 문화의 역사를 쉽고 재미있게 서술했다.

제1장 조선시대 이전의 서울 차 문화, 제 2장 조선왕실과 관청의 차 문화, 제3장 조선시대 한양의 명소와 차 문화, 제4장 조선시대 한양의 인물과 차 문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차 문화의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사진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등에서 출토된 돌절구, 완(盌), 호(壺) 등은 한성백제시대의 차 문화를 통해 삼국시대 이전과 삼국시대 한양의 차문화를 짐작하게 해준다.

고려시대 남경南京이었던 서울 역시 국왕들의 순행의 대상이었으며, 많은 사찰들이 자리함에 따라 차 문화를 즐긴 고려인들에게 예외의 장소가 아니었다. 조선시대 차 문화를 선도한 지역은 서울, 차 문화를 이끄는 중심에는 왕실과 관청이 있었다. 왕실이 주관하는 연회, 주다례·별다례 등의 제례, 중국 사신단의 접견의례 그리고 왕실 가족들의 사적인 모임들에서 차는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조선왕실의 중요한 음료문화였다.

또한 다시(茶時)를 통해서 정의사회를 구현하려 했던 사헌부, 여성과 신분이라는 굴레로 탄생한 특수직 차모(茶母), 조선 최대의 양잠업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관청에서도 차는 곳곳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시대 한양의 명소에는 차가 빠지지 않았다. 한강과 한양을 둘러싸고 있는 내사산은 조선시대 지배층들이 즐겨 찾은 명승지였다. 한강변과 내사산의 전망 좋은 곳은 그들의 휴식처로 풍류를 즐기거나 심신을 수양한 누정에는 차 문화가 함께했다. 한편 사대문 안의 광통교와 수성동계곡 일대에서는 다양한 계층과 직업군이 차 문화를 즐기는 공간이었다.

조선시대 한양에는 유명한 차인茶人들이 있었다. 지하철 7호선 사가정역의 서거정(1420년~1488년)과 서울대학교 자하연의 신위(1769년~1845년)는 조선 전기와 후기를 대표하는 문인들로, 그들은 항상 차를 노래하고 있었다. 차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매개체이기도 했다. 조선에서 차는 약이기도 했기에 허준(1539년~1615년)은 약용차의 효능을 강조하며 사람들에게 차를 권하였다. 18세기 신분과 연령의 벽을 넘어 탑골에 모였던 백탑파 역시 차 한잔과 함께 학문과 문화를 교류하였다.

서울문화마당 제19권 ≪조선시대 서울의 차 문화≫의 가격은 1만원이고, 시민청 지하 1층 서울책방에서 절찬리에 판매중이다. 다만 현재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하여 온라인(https://store.seoul.go.kr)을 통해서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울의 차 문화≫을 비롯한 <서울문화마당> 시리즈는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과 서울역사편찬원 홈페이지(https://history.seoul.go.kr)에서 제공하는 전자책으로도 열람이 가능하다.

 

 

SNS 기사보내기
이능화 기자
저작권자 © 뉴스 차와문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